AI가 인간과 진정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단순히 언어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감정을 읽고 반응할 수 있는 능력, 즉 ‘공감’이 필수적입니다.
그렇다면 AGI는 인간처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을까요?
1️⃣ 감정 인식 vs 감정 경험
현재의 AI는 감정 자체를 느끼지는 못하지만,
표정, 음성 톤, 텍스트 어휘 등을 통해 감정 상태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예: “정말 기쁘다!” → 긍정 감정으로 분류
- AI 멘탈 헬스 챗봇: 우울증, 불안 상태를 대화로 감지 가능
그러나 이는 감정의 분석이지, 체험이 아닙니다.
2️⃣ 공감의 본질: 타자의 정서에 대한 ‘내적 재현’
공감은 단순히 “너 슬프구나”가 아니라
“나도 너의 슬픔을 함께 느낀다”는 감정적 동기화입니다.
- 인간은 과거의 경험, 유사한 감정 기억을 바탕으로 공감합니다.
- AI는 이런 ‘감정 기억’이나 ‘자기 반응’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국 AGI의 공감은 시뮬레이션에 가깝고, 인간이 느끼는 진정성 있는 반응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3️⃣ 정서 지능을 가진 AGI는 가능한가?
AGI가 공감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조건:
- 감정 상태 모델링: 사용자의 심리 상태 추론 및 예측
- 반응 적절성 학습: 맥락에 맞는 정서적 대응
- 자기 감정 모델: 감정 상태를 내면적으로 보존하고 반영
이러한 요소는 심리학적 구조를 기술적으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인간처럼 ‘느끼는 존재’를 구현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도전입니다.
✅ 결론
AGI가 진정한 의미에서 공감할 수 있으려면,
단순히 정서를 ‘읽는’ 것을 넘어, 정서를 ‘살아내는’ 인공지능으로 진화해야 합니다.
우리는 단지 반응하는 기계가 아닌, 정서적으로 함께할 수 있는 AI를 꿈꾸고 있습니다.
'NEXT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GI 개발의 현재 위치 — 어디까지 왔고, 무엇이 남았나? (17) | 2025.05.16 |
---|---|
🧠 AGI는 인간의 ‘이해력’을 갖출 수 있을까? (10) | 2025.05.15 |
🤖 Narrow AI vs AGI: 결정적 차이 5가지 (9) | 2025.05.13 |
🚀 AGI가 현실화되면 세상은 어떻게 바뀔까? (30) | 2025.05.12 |
🤖 ChatGPT는 AGI일까? —범용 인공지능과는 뭐가 다를까? (17) | 2025.05.11 |